촉매 탄소화학 2020. 11. 30. FCC(fluid catalytic cracking)/유동 접촉 분해 탄소와 기름은 뗄 수 없는 관계다. 일상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탄소성분이 매립된 자원(석유 및 석탄)으로부터 오기 때문. 이 포스팅은 원유를 정제할 때 사용되는 기술인 유동 접촉 분해에 대한 정리이다. 유동 접촉 분해(FCC: Fluid Catalytic Cracking)란? FCC는 고체산 촉매를 이용하여 상압 잔사유(AR)나 감압 경유(VGO) 또는 이들의 수소화 처리유(DSAR, DSVGO) 등 중질 유분으로부터 가솔린과 같은 저비점, 고부가의 탄화수소를 생산하는 반응장치다. 기존에는 원유를 증류탑으로만 분리했었지만, FCC 장치 및 고체산 촉매의 개량으로 인해 중질인 원료유를 분해하고 보다 고부가가치인 유분(가솔린 등)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. ○ FCC 프로세스는 두 단계로 나뉜다. 1차 반.. 탄소화학 2020. 8. 28. 기름의 탈질과 탈황 일반적으로 기름은 많은 종류의 탄화수소를 포함한 수많은 물질들이 섞여있습니다. pyridine, pyrolidine과 같은 고리 내 질소가 포함된 물질뿐만 아니라, thiophene, benzothiophene 등 황을 포함한 탄화수소들도 많이 섞여있지요. 그뿐만 아니라 미량의 금속 또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기름을 다루기 위해서는 이 물질들을 제대로 분리하고 상품화할 줄 알아야 합니다. 실제로 기름 속에 포함된 질소 및 황 화합물은 위의 그림처럼 간단하게 생기지 않았지만 간단하게 표시했습니다. 질소와 황 성분은 보통 정제 과정에서 불순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합니다. 하소(Calcination) 하소(calcination)를 이용해서 제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하소란 어떤 물질을 고온으.. 이전 1 다음